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는 OV5640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블록 다이어그램에서 전원 부분을 조금 살펴봤다. 이 부분은 DVDD에 1.5를 공급해줘야 하고, LDO에 의해 발생하는 발열을 주의해야 한다는 내용, PWDN 핀과 RESETB 핀의 타이밍 정도만 알아두면 될 것 같다. 자 이제 모든 IC의 심장과도 같은 Clock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후 (근데 이걸 왜 하냐면.. 구글링만 해도 많은 사람들이 작성해놓은 드라이버들이 많다. 사실 그거 그냥 가져다 사용하면 동작은 하겠지. 근데 다 단종모델이고 나는 최신(?) 모델을 사용할 계획인데 아직 데이터 시트를 받지 못했다. 뭐 큰 차이는 없을 테니까 카메라, 이미지 센서 개념도 이해할 겸 해서 리딩 하는 거다.) 3. OV5640 Clcok OV5640은 ..
임베디드를 전공했지만 카메라, 모니터 등은 제어해본 경험이 별로 없다. 특히나 카메라는 더 경험이 없다. ESP-EYE를 검토하면서 카메라 모듈을 제대로 이해해야겠다는 생각에 카메라 모듈에 대해 좀 찾아봤다. 거의 대부분 OmniVision의 image sensor를 사용하고 있고 OV264. OV5640등 2000년대 초반, 2010년대 초반에 나온 제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지만, 이 제품들은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다. 즉 단종 근데 왜 이렇게 많이 판매를 하고 있을까? 아는 영업사원의 말로는 중국에 떠돌아다니는 것들 이란다. 곧 다 사라지겠지? 그래서 OmniVision의 홈페이지에 들어가 봤더니 최신의 Image sensor들이 많이 출시되었지만 데이터 시트는 구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거의 대부분..
만들어보고 싶은 물건이(?) 있어서 자이로 센서를 구매했다. MPU6050(GY-521)을 구매! 이건 뭐 구글에 검색하면 판매처 많이 나오니까 가장 저렴한 것을 구매하면 된다. MPU6050은 자이로 + 가속도 센서로 사람들이 아두이노로 많이 제어하는 것 같은데 난 개인적으로 아두이노를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패스) 현재 사용 중인 ESP로 제어해보도록 하겠다! 이론적인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위키백과를 참조하세요~~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4%EB%A1%9C%EC%8A%A4%EC%BD%94%ED%94%84 자이로스코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이로스코프(영어: gyroscope)는 위아래가 완전히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