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아래와 같이 전처리를 이용한 분기가 있을때 IDE에서는 구분해주지만 소스인사이트는 #define 의 활성화 여부를 구분하지 못한다. 물론 Context Window를 통해 확인가능하지만 불편한건 사실이다. project -> project setting을 클릭하면 현재 소스인사이트의 프로젝트 경로를 확인 할 수 있다. 모자이크 처리된 부분이 프로젝트가 있는 경로다. 이 경로에 C.tom 파일을 만들어준다. C.tom 파일을 열어서 #define 에서 정의한 매크로의 이름을 작성하고 저장. 다시 소스인사이트로 돌아와 Project -> Synchronize Files... 클릭 Force all files to be re-parsed 체크하고 OK 누르면 끝. 주석처리하면 흰색으로 바뀌고 활성화 시키면 다..
임베디드에서는 c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료형을 (int, float, short, char 등)을 uint16_t, uint32_t 등으로 변경해서 사용한다. C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료형이 아니기 때문에 소스인사이트에도 키워드로 등록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색깔 구분이 없다. int는 C 기본 자료형이기 때문에 색깔표시가 되고, uint16_t는 내가 키워드로 등록해서 색깔이 표시된다. int16_t는 키워드로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색깔이 표시되지 않는다. 키워드로 등록하는 방법은 Option -> Preferences -> Languages 까지 들어간다. 여기서 C Language 선택하고 우측에 Keywords... 선택! 우측 메뉴에서 Add Word를 선택하면 키워드로 등록할 수 ..
개발툴을 사용하다 보면.. workspace나 project 리스트가 쌓이면 찾기 힘든 경우가 많다. 소스인사이트도 마찬가지인데 여기에 열어본 프로젝트 리스트가 쌓이게된다. 하.. 저거 보고 있으면 숨 막힌다. 초기화하는 방법은 아래 경로에서 PROJECTS.DB3 파일을 삭제해주면 된다. C:\Users\admin\Documents\Source Insight\Projects\ - 끝 -
소스인사이트는 VSC가 나오기 전 가장 많이 사용되던 코드 분석 및 텍스트 에디터다. 난 MCU 코딩할 때는 아직까지 소스인 사이트를 사용한다. 슬슬.. vsc로 바꿔야겠지만. 아무튼 소스인사이트에서 블랙 테마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다! 내가 만든 건 아니고 누군가 소스인사이트 블랙 테마 버전을 만들어 놓았다. (감사합니다 ^^) https://github.com/kiddlu/Source-Insight-config GitHub - kiddlu/Source-Insight-config: My own Source Insight config My own Source Insight config. Contribute to kiddlu/Source-Insight-config development by cr..
소스인사이트 개발자라면 한번쯤은 사용해봤거나 주력으로 사용하는 텍스트 에디터다. 울트라에디터, VSC등 다양한 텍스트 에디터가 있지만 순수하게 소스코드를 분석하는 측면에서는 가장 강력하다고 생각한다. 오래사용해서 익숙하기도 하고, 뭐 암튼 소스인사이트에서 단축키 변경을 알아보자. 프로그램 상단의 메뉴에서 Option - Key Assignmets를 선택 오른쪽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원하는 단축키를 변경하면 된다. 한 가지만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다. 현재 열려있는 파일에서 Symbol(함수, 변수, include, define 등등)을 찾아주는 단축키가 Alt+L이라고 되어있다. 이걸 변경해보도록 하겠다. Symbol을 입력하니 저렇게 많이 나온다. 어떻게 찾지?.. 그냥 노가다지뭐.. 왼쪽..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