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command(명령어)] ls 명령어(l : List, S : sort)

728x90
반응형

리눅스 명령어 중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ls'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터미널에서 'ls --help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과같이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나타난다.

ls --help

ls는 List, Sort의 약어로 볼 수 있다. 명령어 옵션과 사용법에 대해 아주 친절하게(?)설명해 주지만 전부 다 사용할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많이쓰이고 중요한것들만 알아보도록 하자.

 

1. ls

가장 기본적으로 ls를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폴더의 리스트를 볼 수 있다.

ls

2. ll, ls -l

l(L의 소문자)을 연속으로 2개 입력하거나 ls에 옵션으로 -l을 입력하면 파일의 권한, 링크 수, 소유권, 소유그룹, 파일크기, 파일 최종 수정 일시, 파일이름의 정보를 알 수 있다.

ls -l
ll

맨 앞의 drwxr-xr-x 중 d는 파일의 유형이다. 파일 유형에는 -(일반파일), d(디렉토리 파일), l(심볼릭 링크), c(캐릭터 장치 파일), b(블록 장치 파일), p(파이프 파일), s(소켓 파일) 가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포스팅을 해야할 것 같다.

 

다음으로 rwxr-xr-x는 파일의 허가권을 뜻한다. 파일 허가권은 맨 앞의 파일유형을 나타내는 문자 뒤부터 3개씩 잘라서 읽고순서대로 소유자, 그룹, 기타사용자의 권한을 나타낸다.

 

r은 read의 약자로 읽기권한을, w는 write의 약자로 쓰기권한, 그리고 x는 execute의 약자로 실행권한을 뜻한다. 순서대로 해석해보면 소유자, 그룹, 기타사용자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

  소유자 그룹 기타사용자
r(읽기) O O O
w(쓰기) O X X
x(실행) O O O

 

파일의 형태 및 허가권 뒤로 나오는 숫자는 링크 수다. 링크는 심볼릭 링크와 하드링크 두 가지가 있다. 이 부분도 따로 포스팅을 해야겠다.

 

다음으로 첫번째 root는 해당 파일의 소유권을 가진 소유용자의 이름이고, 두번째 root는 해당 파일을 소유한 그룹 이름이다.

 

다음으로 4096은 파일의 크기를 나타내고 단위는 byte다.

 

7월 19일 10:56 분은 파일을 최종적으로 수정한 시간이다. 맨 마지막은 파일 이름 이다.

 

3. ls -a

ls -a

디렉토리안의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보여준다.

4. ls -s, ls-S

ls -s
ls -S

소문자 s는 파일에 할당된 크기를 블록단위로 표시해 보여주고, 대문자 S는 파일의 크기순으로 정렬해 보여준다.

 

5. ls -r, ls -R

ls -r
ls -R

ls 명령은 기본적으로 알파벳 순서로 파일 및 폴더를 출력하는데, 옵션 -r을 이용하면 거꾸로 출력 할 수 있다. -R은 폴더의 하위 디렉토리 까지 표시해준다.

 

 

-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