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포스팅을 하다 보니 대표 이미지가 통일되지 않아 조잡한 느낌을 받아 대표 이미지를 통일하기 위해 게시글의 대표 이미지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게시글을 쓰거나 수정할 때 이미지를 선택하면 아래와같이 보인다. 여기서 대표를 선택하면 해당이미지가 대표 이미지가 된다! 두 번째 방법은 게시글을 작성하고 완료를 누르면 오른쪽 이미지 부분에 -가 보인다. 대표 이미지가 없다면 저 부분이 +로 보일 것이다. 클릭해서 대표 이미지를 수동으로 지정 해면된다. 포스팅 끝! - 끝 -
블로그 폰트를 변경하고싶다. 방법은 간단하다. 스킨편집에 우측상단에 'html 편집'에 들어가서 CCS 편집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Ctrl + F 를 누르면 검색창이나온다. 여기에 #header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118번째줄이 보일것이다! 여기서 #header h1 126번째 줄부터 134번째 줄까지가 블로그 이름이 나오는곳의 폰트를 수정하는곳이다. 여기에 원하는 폰트와 폰트사이즈 등을 넣어주고 우측 상단에 적용을 누르면 끝!
기술적인 내용을 구글에 검색해보면 수많은 개인 블로그들이 나온다. 내용들을 보면 충실하게 잘 작성된 블로그도 있지만, 누가 먼저 작성했는지 출처가 의문인 내용의 포스팅이 상당히 많다. 물론 개인의 메모장 정도로 활용해서 그렇게 작성했을 수도 있지만 모두가 볼 수 있는 공개적인 공간에 타인의 창작물을 베껴다 올려놓는 건 좀 아니지 않나? 출처도 안 밝히고 휴 포스팅을 시작하려다갑자기 든 생각이다. 지금부터 파이썬의 NumPy라는 패키지를 구석구석 살펴볼 예정이다. 머신러닝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NumPy가 필수인 것 같다. 그럼 시작해보자. NumPy란? NumPy는 "Numarray"와 "Numeric"이라는 아주(?) 오래된 Python 패키지를 계승해서 나온 수학 및 과학 연산을 위한 파이썬 패키지다...
이전 포스팅(https://vuzwa.tistory.com/entry/LVDS-%EB%9E%80) 에서 LDVS를 알아본 것은 GMSL, FPD-Link를 알아보기 위한 선행학습이었다. 본 포스팅에서는 GMSL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GMSL이 뭐길래 ? ? ? ? ? ? Gigabit Multimedia Serial Link의 약자다. MAXIM에서 카메라, 오디오, 모니터 외 각종 센서의 데이터를 Gigabit급의 속도로 전송하기 위해 출시한 솔루션이다. 여기에 활용되는 기술이 LVDS다. MAXIM 외에도 TI에서는 FPD-Link라 하고 최근에는 ROHM사에서도 유사한 솔루션을 내놓았다. 아래는 MAXIM 링크와 TI 링크다. 이 기술 ADAS에 가장 많이 적용되는 것 같다. https://www...
학교를 졸업하고.. 위에 상사도 없고.. 있다 해도 다들 뭣도 모르고 그러니 물어볼 곳이 없다. (내가 잘났다는 건 아니고, 그냥 내가 만났던 사람들은 물어봐도 다 몰랐다.) 그래서 내가 직접 알아보는 수밖에 후 .. 1. LVDS란 ? LVDS란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의 약자다. 한국말로 하면 '저 전압 차등 시그널링'이라 할 수 있다. 1995년에 ANSI/TIA/EIA-644로 표준 규격화된 serial interface를 위한 물리계층이다. 시리얼 데이터를 낮은 전압과 적은 전위차로 전송해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향상하고 노이즈에 강하게 하고 전력 소모를 적게 하기 위한 통신방법이다.처음 도입은 노트북에 도입이 된 이후 빠르게 활성화되어 산업 전반..